외국인 대상 한국어 온라인 교육 사이트 '마스터코리안'과 ‘마스터토픽(’이 외국인 회원 182명을 대상으로 ‘한국어에 대한 인식’을 묻는 설문을 실시한 결과, 응답자의 32%(58명)는 한국어를 공부할 때 ‘발음’이 가장 어렵다고 답했다.이어, 존댓말과 반말을 구별하는 ‘경어체 사용’이 26%(48명), ‘회화 연습이 어려운 환경’ 21%(38명), ‘한국어 학습을 위한 한자 공부’ 15%(27명)를 어려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.
以外國(guó)人為教育對(duì)象的韓國(guó)在線教育網(wǎng)站“masterkorean”和“mastertopik”以182名外國(guó)人會(huì)員為對(duì)象的問卷調(diào)查結(jié)果中32%(58名)的人認(rèn)為韓語(yǔ)學(xué)習(xí)中“發(fā)音最難”。其次26%(48名)認(rèn)為敬語(yǔ)和非敬語(yǔ)的區(qū)分很難,21%(38名)認(rèn)為“很難有練習(xí)對(duì)話的環(huán)境”,15%(27名)認(rèn)為韓語(yǔ)學(xué)習(xí)中的漢字學(xué)習(xí)很難。
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은 주로 어느 나라 출신일까. 응답자의 45%(82명)는 ‘중국’인 것으로 조사됐다.‘한국에 체류한 기간’은 ‘6개월~1년’ 47%(86명), ‘6개월 미만’ 32%(58명) 등 80%가 1년을 채 머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. 이 역시 한국 대학 입학을 목표로, 이제 막 온라인을 통해 한국어 공부를 시작한 20대 응답자가 다수를 차지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.
韓語(yǔ)學(xué)習(xí)的外國(guó)人中主要來(lái)自于哪個(gè)國(guó)家呢?調(diào)查結(jié)果顯示應(yīng)答者中的45%(82名)來(lái)自中國(guó)。在韓國(guó)的滯留期間47%(86名)為“6個(gè)月~1年”、32%(58名)“不滿6個(gè)月”等80%的人在韓滯留時(shí)間不超過(guò)1年。其原因是大多數(shù)應(yīng)答者是以上大學(xué)為目標(biāo),在線學(xué)習(xí)韓語(yǔ)的20多歲的年輕人。
외국인이 말하는 ‘가장 효과적인 한국어 공부 방법’은 무엇일까. 32%(58명)가 ‘한국인과의 대화 연습’을 꼽은데 이어, 근소한 차이로 28%(52명)는 ‘방송매체를 통한 듣기 연습’이 효과적이라고 답해 드라마와 케이팝 등 여전히 한류에 대한 관심과 영향력이 적지 않음을 짐작할 수 있다. 이밖에 ‘일기 등 쓰기 연습’ 15%(27명), ‘맞춤법과 문법 공부’ 13%(24명), ‘생활 속 읽기 연습’ 8%(14명)이 한국어 공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.
外國(guó)人覺得“最有效的韓語(yǔ)學(xué)習(xí)方法”是什么?32%(58名)的應(yīng)答者認(rèn)為“與韓國(guó)人對(duì)話練習(xí)”,其次28%(52名)認(rèn)為“通過(guò)電視媒體進(jìn)行聽力練習(xí)”也是有效的學(xué)習(xí)方法,看以看出電視劇和韓流時(shí)尚的影響范圍很大。除此之外15%(27名)認(rèn)為“日記等寫作練習(xí)”、8%(14名)“生活中的閱讀練習(xí)”對(duì)學(xué)習(xí)韓語(yǔ)都很有幫助。
更多內(nèi)容請(qǐng)關(guān)注:上海上元教育
聯(lián)系電話:<>400-168-8684
咨詢QQ:<>1779487890